광진구 문화재2 소개
안녕하세요.
건대호빠입니다.
오늘은 건대호빠와 함께 광진구 국가등록문화재와 서울특별시 시지정문화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광진구 문화재2
국가등록문화재
![]() | 구 서북학회회관시대 : 대한제국시대 위치 : 능동로 120 건국대학교 내 설명 : 1907년 서울시 종로구 낙원동에 건립된 이후 당시 민족애국단체인 ‘서북학회’의 회관으로 쓰인 건물이다. 1977년 도시계획으로 철거해제되어, 주요 자재를 현 건국대학교 캠퍼스에 보관하고 있다가 1985년 복원하여 현재는 학교 건립자의 기념관 겸 박물관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
서울 구의정수장 제1,2공장시대 : 1936년~ 1984년 위치 : 광나루로 571 설명 : 구의정수장 제1공장은 일제강점기인 1930년대에 당시 경성부 부세 확장으로 인해 상수도시설의 확장 필요성에 따라 건설되었습니다. 제1공장에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되고, 기존 완속여과지에 비해 30배 이상 효율을 갖는 급속여과지가 있습니다.제2공장은 1959년 미국의 원조와 기술로 지어진 공장이다. | |
![]() | 간호교과서시대 : 20세기 초 위치 : 장로회신학대학교 설명 : 우리나라 최초의 간호원 양성학교는 1887년에 서울 중구 정동에 있던 보구여관에 설립되었습니다. 초기에는 제대로 된 교재도 없이 수업이 진행되었지만, 이러한 불편을 해결하고자 마가렛 제인 에드먼즈가 교과서를 간행했습니다. |
광진구 문화재2 서울특별시 시지정문화재
유형문화재
![]() | 순명비 유강원 석물시대 : 조선시대 위치 : 능동로 216(어린이 대공원 내) 설명 : 유강원의 석물은 무덤의 주인인 조선의 마지막 왕 순종의 왕비, 순명효황후의 묘를 이장하는 과정에서 이곳저곳에 버려졌던 것들을 한데 모아놓은 것입니다. |
![]() | 상부암 석보살입상시대 : 신라 말 ~ 고려 초 위치 : 광장동 100번지 설명 : 서울지역에서 흔하지 않은 신라 말-고려 초 양식의 특징을 잘 간직하고 있는 중요한 문화재입니다. |
정태제묘 출토 전적류 일괄시대 : 조선시대 위치 : 개인소장 설명 : 조선 인조 때 예문관 검열 겸 춘추관 기사관으로 사관직을 수행했던 정태제가 약 9개월간 남긴 사초와 함께 출토된 정태제의 다른 전적 38점을 모은 것입니다. |
민속문화재
![]() | 도정궁경원당시대 조선시대위치 : 능동로 120 건국대학교 내설명 : 이 건물은 사직동에 있던 덕흥대원군 사당을 지키는 후손의 살림집이었습니다. 원래는 많은 부속 건물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나 현재 사랑채에 해당하는 건물만 남아 있습니다. 지금 있는 건물은 사직동에서 1979년 건국대학교로 옮긴 것입니다. |
기념물
![]() | 화양동 느티나무나이 : 700년 추정위치 : 화양동 110-34 설명 : 화양동 느티나무 공원에는 느티나무 7그루가 한 곳에 모여 자라고 있는데, 그 중 가장 오래되고 큰 느티나무를 대표적으로 화양동 느티나무라고 칭합니다. |
출처 광진구청
광진구 문화재2 소개 끝